TFTP와 FTP의 차이점 이해하기
본문 바로가기
코드를 품는다

TFTP와 FTP의 차이점 이해하기

by 코품자 2023. 6. 28.
반응형

FTP

 

파일 전송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옵션은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와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파일 전송 요구사항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선택하려면 두 프로토콜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TFTP와 FTP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각 기능 및 사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TFTP (단순성과 효율성)

TFTP란 무엇인가요?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는 간소화된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제품군의 전송 계층에서 작동하며 주로 로컬 네트워크의 장치 간에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TFTP는 FTP에 비해 최소한의 디자인에 기능이 축소된 것으로 유명합니다.

 

TFTP의 주요 특징

가벼움: 디렉토리 목록이나 사용자 인증과 같은 추가 기능 없이 필수적인 파일 전송 기능에만 집중합니다.

비연결 프로토콜: TFTP는 비연결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영구적인 연결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각 파일 전송은 세션 관리 없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집니다.

UDP 기반: TFTP는 전송 프로토콜로 UDP(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를 사용합니다. UDP는 단순성과 짧은 지연 시간을 우선시하므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중요하지 않은 시나리오에 적합합니다.

제한된 보안 기능: TFTP에는 고급 보안 메커니즘이 없습니다. 암호화나 인증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무단 액세스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FTP (다양성 및 기능)

FTP란 무엇인가요?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는 네트워크(일반적으로 인터넷)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지원됩니다.

 

FTP의 주요 특징

광범위한 기능: FTP는 디렉토리 목록, 파일 이름 바꾸기, 권한 관리 등 파일 전송을 위한 포괄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TFTP에 비해 더 많은 제어 기능과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영구 연결: FTP는 파일 전송 세션 내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영구 연결을 설정합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중단된 전송 재개와 같은 기능을 지원합니다.

TCP 기반: FTP는 전송 프로토콜로 TCP(전송 제어 프로토콜)를 사용합니다. TCP는 오류 확인, 시퀀싱 및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인증 및 보안: FTP는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비롯한 다양한 인증 방법과 SSL/TLS와 같은 암호화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파일 전송 시 보안을 강화합니다.

 

올바른 프로토콜 선택하기

TFTP와 FTP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특정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가볍고 간단한 파일 전송 솔루션이 필요한 경우 TFTP가 적합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고급 기능, 보안 전송, 다양한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FTP가 더 적합한 옵션입니다.

네트워크 환경, 보안 요구 사항, 원하는 기능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사용 사례에 가장 적합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하세요.

 


TFTP와 FTP는 서로 다른 두 가지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각각 고유한 장점과 사용 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TFTP는 단순성과 효율성이 뛰어나 로컬 네트워크 전송에 적합하고, FTP는 다양성과 기능성으로 보다 광범위한 파일 전송 요구사항을 충족합니다. 두 프로토콜의 차이점을 이해하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고 특정 요구사항에 가장 적합한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정리

 

TFTP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FTP (File Transfer Protocol)
1. UDP를 사용하는 빈연결형 파일 전송 프로토콜

2. FTP보다 속도는 빠르지만, TCP처럼 데이터가 잘 도착했는지 검사 기능 없음.

3. 인증 절차가 없어 누구나 호스트에 접근해 정보를 가져갈 수 있다.

4. 작은 용량의 파일 전송에 유용
1. TCP를 사용하여 신뢰성이 있고, 연결지향적 파일 전송 프로토콜

2. ACK 존재, ACK를 받아야만 다음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3. ACK가 존재 하므로 속도나 TFTP 비해 느리다.

4. 큰 용량의 파일 전송에 유용